카테고리 없음

실제로 존재하는 이상한 직업 – 도넛 구멍 디자이너(Doughnut Hole Designer)

bs기자 2025. 7. 25. 15:14

여러-가지-모양의-도넛을-만들면서-테스트해-보고-있는-모습

 

도넛을 떠올리면 동그란 모양에 가운데 구멍이 뚫린 빵이 떠오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는 그저 “동그란 빵”의 상징일 수 있지만, 도넛의 중심에 뚫린 구멍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기능적인 디자인’입니다.

이 중심 구멍의 크기, 깊이, 모양, 위치 등을 설계하고 조정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도넛 구멍 디자이너(Doughnut Hole Designer)라고 부릅니다. 실제로 미국, 일본, 프랑스 등 베이커리 선진국에서는 이 분야가 제품 개발 직무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으며, 베이커리 브랜드의 맛과 브랜드 이미지 차별화 요소로 작용합니다.

도넛 구멍은 왜 중요한가?

대부분의 사람은 도넛의 중심을 “비어 있는 곳”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그 구멍이 어떻게 설계되었느냐에 따라 도넛의 식감, 튀겨지는 속도, 균일성, 기름 흡수량까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 구멍이 너무 작으면 도넛 중심부가 덜 익고 쫄깃해집니다.
  • 구멍이 너무 크면 도넛 전체가 얇아져 바삭한 식감이 증가하지만 볼륨이 줄어듭니다.
  • 구멍이 정확히 가운데 있지 않으면 모양이 일그러져 판매 불량 처리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유명 도넛 브랜드들은 도넛 구멍의 비율, 위치, 모양 등을 연구하고, 이에 따라 도넛 디자인팀 혹은 생산개발팀에 구멍 전담 설계자를 두기도 합니다.

도넛 구멍 디자이너의 주요 역할

이 직업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 도넛 레시피에 맞는 구멍 크기와 비율 설계
  • 튀김 시 수축/팽창률을 고려한 구멍 반경 최적화
  • 기계 생산용 도넛과 수작업 도넛의 형태 정렬
  • 브랜드 고유의 구멍 형태 유지 (둥글게, 타원형, 사선형 등)
  • 도넛 '홀' 자체(작은 볼 형태 도넛)의 구모양 균형 설계
  • 소비자 피드백을 반영한 도넛 구멍 디자인 개선

이를 위해 수학적 계산(지름, 면적, 질량 분포 등)과 함께, 실제 제품 테스트, 촉감 실험, 기계 설비와의 호환 테스트 등을 반복 수행합니다.

도넛 구멍 디자인이 브랜드를 만든다

미국의 대표 도넛 브랜드 A사는 구멍의 지름을 전체 도넛 직경의 22.5%로 고정합니다. 반면 일본의 프리미엄 베이커리 B사는 구멍을 없애거나 비대칭 구멍을 넣어 독창성을 강조합니다.

또 일부 고급 도넛은 구멍 부분에 잼이나 크림을 채워넣기 위해 처음부터 구멍 없이 디자인되기도 하며, 구멍 형태 자체를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사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바로 도넛 구멍 디자이너의 작업 결과입니다.

어떻게 이 직업을 가질 수 있을까?

공식적인 직업명은 "Dough Product Developer", "Pastry R&D Assistant" 혹은 "Food Shape Designer" 등으로 구분됩니다. 도넛 구멍 디자인은 이 직군 내의 세부 역할이며, 주로 다음과 같은 경로로 진입합니다:

  • 제과제빵학과, 식품공학, 조리학 전공
  • 대형 제과 프랜차이즈 또는 OEM 제조사 인턴십 경험
  • 제품 개발 부서 R&D 직무 지원
  • 수작업 도넛 장인의 경력 후 프리랜서 개발자 전환

특히 대형 브랜드는 기계 생산과 수작업 간 차이를 줄이기 위한 CAD 기반 도넛 설계도 진행하며, 일부 회사는 3D 모델링 기반 도넛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연봉과 근무 환경

이 직업의 평균 연봉은 경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 초급 개발자: 연 3,000만~3,800만 원
  • 중견 브랜드 R&D 직군: 연 4,000만~6,000만 원
  • 프리미엄 제과 전문 디자이너: 연 7,000만 원 이상

대부분 식품 제조사 R&D센터, 제과 프랜차이즈 본사, OEM 공장 설계팀 등에 소속되며, 일부는 도넛 전문 매장 또는 제품 개발 컨설턴트로 활동합니다.

이 직업이 주는 특별한 의미

도넛은 단순한 간식이지만, 이 안에는 제품 공정, 물리적 균형, 고객 심리, 식감 최적화가 담겨 있습니다. 도넛 구멍 디자이너는 이를 분석하고 개선하며, 우리가 무심코 먹는 도넛 하나의 완성도를 책임집니다.

실제로 소비자 테스트에서 “구멍이 비뚤어진 도넛은 신선도가 낮아 보인다”는 인식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미학이 아닌 신뢰와 직결된 요소입니다.

비슷한 직업군과 차이점

  • 제빵사: 전체 반죽과 공정 담당
  • 제품 디자이너: 포장 및 외형 중심
  • 도넛 구멍 디자이너: 모양·구조·식감 중심의 중심 설계

특히 자동화 설비가 늘어남에 따라, 구멍 위치와 형태가 기계 공정에 적합한지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순한 감각 이상의 정확한 수치 설계 능력도 요구됩니다.

마무리: 비어 있지만 결코 공허하지 않은 구멍

도넛의 구멍은 비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가장 중요한 중심부입니다. 그 구멍이 있기에 도넛은 골고루 익고, 보기 좋고, 먹기 편해집니다.

도넛 구멍 디자이너는 비어 있는 공간을 통해 맛과 디자인, 신뢰를 완성하는 전문가입니다. 우리도 이제 도넛을 먹을 때, 그 구멍이 왜 존재하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한 번쯤 떠올려 보면 어떨까요?